1.7.1 노멀라이징
중 후판에서 노멀라이징은 주로 압연에 의한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미세화시키며, 강판의 연신율, 단면 수축률, 충격 값 등 인성의 개량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1.7.2 담금질(강경도향상)
중 후판에서 담금질은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등의 탄화물을 오스테나이트 중에 완전 고용한 조직을 상온에서 얻기 위한 고용화 처리도 일부 하게 되나, 주로 마이텐자이트를 주체로 한 조직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7.3 템퍼링
중 후판의 템퍼링에는 일부 Cr-Mo강 등의 노멀라이징 후의 템퍼링도 있으나, 보토은 담금질에 의하여 생긴 내부 응력의 제거와 마아텐자이트의 템퍼링을 하여, 강재의 강도를 감소시키고, 높은 인성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60kg/mm2 고장력강의 담금질과 템퍼링에 의한 조직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담금질에 의해 얻은 조직을 템퍼링할 경우 그 정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템퍼링 할 시간이 길수록 크다.
2. 열연박판의 압연
두께 3mm 미만의 강판을 박판이라고 하며 열간 압연 제품과 냉간 압연 제품으로 구분한다. 대부분의 박판은 소재를 연속열간 스트립 압연기(hot strip mill)에 의해 길이가 길고 폭이 넓은 광포 대강(hot coil)을 만든 후 이것을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 하여 사용한다. 이것을 열연 박판이라 하는데, 두께가 주로 1.2mm 이상의 것을 압연한다.
2.1 열연박판의 제조 공정
제강, 분괴 공정을 거친 슬래브(slab)는 열연 스트립의 제조 순서에 따라서 연속 가열로에 장입된다. 가열로에서 소정의 온도로 가열된 스래브는 VSR(vertical scale breaker)와 조 압연기를 통과하여 노외 내에서 발생한 1차 스케일이 제거되고, 폭을 조정하여 두께 20~40mm의 바(bar)로 된다. 이어서 크롭 시어, 완성 압연기(finishing scale breaker, FSB)를 통과하여 두께 ,형상 및 완성 온도를 제어, 조정하여 소정의 제품으로 완성시킨다.
스트립은 냉각 장치에 의하여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다음 코일로 감기고, 결속, 제품 표시, 청량된 후 코일 냉각 야드로 운반된다. 코일은 제조 시에 두께 게이지, 폭 게이지, 각종 온도계에 의한 점검 및 표면 정도, 감기는 모양 등의 검사를 하게 된다.
이상은 저탄소강을 주로 압연하는 연속식 열간 스트립 압연기에 대한 설명이다.
2.2 소재와 가열 작업
2.2.1 소재
열연박판용 소재는 일반적으로 탄소 함유량이 0.3% 이하의 저탄소강이 대부분이나 특수한 소재는 고탄소강, 스테인리스강, 규소강 등이 있다. 또한 열연 박판용 강괴의 종류는 림드강(캡트강 포함), 세미킬드강, Mn, Cu, Cr, Ni, Nb, V, Mo 등의 특수 원소를 첨가하는 실리콘 킬드강, 탄소강 0.1% 이하인 킬드강 등이 있다.
2.2.2 가열 작업
가열 작업의 목적은 압연용 소재인 슬래브를 능률적이고 경제적인 방법으로 알맞은 온도까지 가열하여 연속적으로 압연기에 보내는데 있다. 열간 박판 압연용 가열로는 100~150t/h 정도의 3대식 연속 가열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1960년경부터 5대식 연속 가열로가 사용되고 있다.
가열작업에서 슬래브는 푸셔(pusher)에 의해 노 안으로 장입되며, 예열대와 가열대에서 위, 아래 버너에 의해 거의 추출 온도 가까이 가열된다. 그러나 여기서 수냉스킷에 의한 스킷 마크(skit mark)가 크게 남게 되는데 압연 작업이나 품질에도 지장을 가져오므로 다음의 균열대에서 스킷 마크를 감소시킨다.
이렇게 하여 가열 균열된 슬래브는 추출 테이블 위로 보내어 조 압연 공정에 들어간다. 또한 소재가 추출되는 것은 장입구 쪽에서 새로운 소재가 푸셔에 의해 장입됨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작업이 반복됨으로 연속 가열 작업이 이루어진다.
연료는 중유나 가스가 사용되며 필요한 공기는 연도에 부설된 예열기에 의해 400~450도로 예열하여 버너로 보낸다. 연소 중 노 내 온도에 도달하여 유지될 수 있또록 연료와 공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공급하게 되어 있다. 예열대 65%, 가열대 25%, 균열대 10% 정도이며, 배출시 슬래브 표면 온도는 1250~1300도 정도이다.
2.3 열연 작업
전 연속식 압연기는 각종 열간 박판 압연기 중에서 가장 능률이 좋아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이것은 5~6대 조압연기, 6~7대의 완성압연기, 2~3대의 권취기로 구성되어 있다. 전 연속식 열간 스트립 압연기의 설비 중 조 압연기를 1대의 가역식 조 압연기로 줄여 사용하는 것을 반 연속식 열간 스트립 압연기라 한다.
이 밖의 2대의 가역식 압연기를 배치한 것, 1대의 가역식 조압연기와 비가역식 압연기를 배치한 것 등이 있다.
봉강은 단면 형상이 원형, 타원형, 사각, 평강, 육각 등의 것이 있ㄸ으며, 이 밖에 원형봉의 길이 방향에 리브가 있는 철근 콘크리트용 이형 원형강도 있다.
봉강의 치수는 지름 또는 대변 길이가 10~100mm 정도이며, 이 중 10~32mm정도의 코일 모양으로 되어 있는 봉재를 특히 바 인 코일(bar in coil)이라 한다.
봉강용 강의 종류는 철근 콘크리트용, 일반 구조 마강용에 쓰이는 탄소강과, 볼트, 너트, 크랭크 핀 등의 기계 구조용에 쓰이는 탄소강, 합금강, 쾌삭강, 단조용강, 침탄강 등 종류가 많다.
원형강 압연방식은 타원과 각의 방식, 마름모꼴과 각의 방식, 박스(box) 방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