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롤 크라운
중 후판용 롤은 보통 그 중앙부가 양단부보다 굵게 되어 있는데, 이 현상을 롤 크라운(roll crown)이라 하며, 롤 중앙부의 지름과 양단부의 차를 롤 크라운 양이라 한다.
롤 크라운 양은 공장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4단 압연기의 경우 0.1~0.5mm로 한다. 그러나 같은 공장에서도 받침 롤의 마멸에 따라서 작업 롤 크라운 양을 0.1~0.3mm로 변화시킬 때도 있다.
롤 크라운은 판 두께의 편차, 평탄도 및 그 결과로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그러나 실제 작업에서는 표준이 될 알맞은 값을 설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롤 크라운 양은 크라운을 결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사항이 롤의 마멸, 비틀림 및 열 팽창등에 대한 경험 값에 의해 정하고 있다.
2)롤 벤딩
작업 롤에 일정한 롤 크라운을 붙여도 압연 치수, 압연 하중,롤의 열팽창, 마멸 등에 의해 압연 중에 롤 크라운의 형상이 변한다고 하면 압연 작업에서 상당한 제약을 받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작업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롤을 압연 하중에 의해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굽혀 압연 형상을 개선할 수 있는 롤 벤딩 장치를 적용시킨다.
작업 롤 벤딩(work roll bending,WRB)과 받침 롤 벤딩(back up roll bending,BURB) 의 두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1)작업 롤 벤딩
작업 롤 베어링 사이의 유압실린더의 힘에 의해 작업 롤을 휘게 하는 방식이다.
(2)받침 롤 벤딩
롤의 강성을 대부분 유지하고 있는 받침 롤을 휘게 하는 방식으로 , 크라운 조정에 큰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1.5 교정과 냉각
1.5.1 교정
압연을 끝낸 강판은 압연에 의한 응력이 남아 있으므로, 압연기에서 교정기까지의 롤러 테이블 위로 보내는 동안 적당한 교정 온도까지 냉각시켜 열간 교정기로 평활하게 교정한 후 다시 냉각 상에 반입하여 공정이 끝나는 온도까지 냉각한다.
강판의 교정은 탄성 변형이 일어나는 저온 영역이 아닌 1000도에서 보통 하게 된다. 교정기 앞에서 강제적으로 수냉 살수하여 냉각시킬 경우도 있다.
교정 작업은 압연재에 남아 있는 최대의 응력을 누를 수 있는 압력과 구동이 필요하지만 , 응력의 크기에 의해서 1패스 또는 수 패스를 거쳐서 교정한다.
1.5.2 냉각
응력이 교정된 강판은 냉각하기 위해서 냉각 상으로 보내는데, 냉각상은 강판을 마름질하여 절단,표시,각인 등의 정정 작업을 할 수 있는 온독까지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또 압연과 정정 작업 속도의 차를 흡수하는 완충 역할도 한다.
1.6 절단과 도장
1.6.1 절단
절단 공정은 크게 나누면 기계적으로 절단하는 기계 절단과 산소 가스를 사용하는 가스 절단으로 분류할 수 있다.
1)기계 절단
냉각 상에서 냉각이 완료된 후판 재료는 표면 검사와 마름질 된 후 절단 공정에 보내어 절단하게 되는데, 절단 작업은 각 공장의 설비 배치, 설비 내용에 따라서 가장 정확하고 능률이 좋은 방법으로 절단 공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단순서, 작업 방법이 일률적으로 고정되지는 않는다.
한 예로 후판 절단기의 배치도를 보면 절단기는 블록(block)절단을 하는 블록 시어(shear), 귀를 절단하는 트리밍(trimming shear) 및 정치수로 절단하는 엔드 시어(end shear)로 나눌 수 있다.
절단 작업은 단순한 기계 조작의 반복에 불과하다. 절단 불량은 불량 제품을 만드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므로 자동 운전에 의한 절단작업이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정확한 작업지시에 의한 절단 가공이 이루어져야 한다. 절단 작업에서 강판의 품질에 영향을 주는 결함으로 크게는 치수의 부정확을 들 수 있으며, 이 밖에 파단면의 불량, 돌아감 등이 있다. 이들을 설비 조건에 따라서 크게 좌우되나 주로 절단 날에 날의 각, 위아래 칼날의 위치 등을 조정하여 해결할 수 있다.
2)가스 절단
절단기로 절단할 수 없는 두꺼운 강판의 절단 방법은 가스 절단, 파우더 절단, 플라즈마 절단 등이 있다.
가스 절단은 프로판, 아세틸렌, 부탄 등을 절단 가스로 하고 철과 산소의 반응열을 이용한 것이지만, 피 절단재의 재질에 따라서 절단이 불가능한 경우는 철분을 이용한 파우더 절단을 하든지, 작동 가스에 아르곤, 질소, 수소 등을 사용하여 고온, 고속의 플라즈마 제트에 의한 플라즈마 절단을 한다.
1.6.2 도장
조선, 교량, 대형 탱크 등은 중 후판을 사용하여 제작하는데, 형강 구조물은 재료 보관에서부터 반제품의 제작 및 조립 등을 옥외에서 많이 하게 되고 제작 기간도 길기 때문에 공사 중의 산화, 부식을 방지하며, 제품 완성 후의 탈청, 도장을 쉽게 하기 위하여 소재인 강판에서 먼저 스케일을 제거한 다음 1차 방청 처리를 하여 출고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쇼트 블라스트, 도장 작업은 종래 조선소 등 각 제조 회사에서 실시했으나 제철소의 중 후판 공장에서 하는 편이 설비의 가동률이 높고 능률이 좋으며 경제적이라는 점에서 중 후판 공장 또는 제철소의 서비스로 많이 하고 있는 편이다.
1.7 열처리
중 후판은 중화학 공업의 발달에 따라서 규격이나 양적으로 요구 사항이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동시에 재질에서도 용도에 따라서 다양화, 고급화 되고 있다.
상당량의 중 후판이 열처리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중 후판의 열처리는 노멀라이징(normalizing), 담금질(quenching), 템퍼링(tempering), 풀림(annealing) 등이 있는데, 이 중 풀림 처리는 특수한 경우 외에는 거의 하지 않는다.
열처리 설비로서도 풀림용 가열로를 구비한 공장은 매우 적다. 노멀라이징, 담금질, 템퍼링 등의 열처리는 롤 식 열처리로, 단식 열처리로 및 연속 담금질 설비 등을 이용하여 조직의 균질화, 미세화, 강인성 향상 등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