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동 전동기와 구동 기구

by bokkggil2 2023. 10. 15.

1) 구동 전동기

압연기의 원동력은 일반적으로 직류 전동기가 이용한다. 속도 조정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3상 교류 전동기도 사용한다. 연속 배열되는 1개의 전동기에 의해서 가동이 가능하다. 연속 배열에서 단독 구동의 경우는 동일 규격의 전동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직류 전동기의 가격은 출력에 따라 결정되지 않고 전동기의 회전 모멘트에 따라 결정한다. 

2) 구동 기구

전동기의 회전력은 커플링이나 스핀들에 직접, 또는 전동기 뒤에 직결되어 있는 기어를 통하여 전달된다. 전동기에서 전달된 회전력은 2개의 상, 하부 롤의 스핀들로 분배되어 롤을 같이 회전시킬 수 있다. 직류 전동기 1대 마다 상, 하부 롤을 분할하여 직접 구동하는 기구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압연 안내 장치와 리프터

출입구 가이드

압연기의 가이드 중에는 입구 가이드(Entry guide)와 받침 장치가 있으며, 이들은 압연재를 압연기의 출구 쪽으로 정확히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형강이나 작은 봉강, 선재용의 압연기는 이들 가이드가 사용한다. 압연재가 롤에 물릴 때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히 조정할 수 있는 사이드 가이드를 통하여 안내하며, 정향 장치의 내면은 압연재의 형상에 정확히 맞추어져 있다. 출구 쪽 가이드는 간단한 양쪽의 정향 장치와 그 사이에 있는 받침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비틀림 가이드

수평 스탠드로 압연할 때 압연재에 일정한 압축을 가하기 위해 압연재는 스탠드와 스탠드 사이를 회전시켜야 한다. 이 회전을 비틀림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90도 비틀어진다.

 

리피터

작은 봉강 선재용 압연기는 여러 패스를 거치는 동안에 압연재는 길게 된다. 따라서 압연기를 나온 압연 재료는 활모양의 리피터(repeater)에 의해 다음 스탠드의 공형으로 유도되면서, 동시에 2내지 수대의 압연기로 보내면 압연이 완성된다.

 

 

1.압연설비 (구동장치 + 압연기) - 피니언, 스핀들 등등 (online 생산)

2.압연기 (online 생산)

3.압연부대설비 - 라인상에 압연을 제외하고 있는 모든 설비 - 가열,냉각,절단,권취 (online 생산)

4.검사, 손질, 포장, 시험, 출하설비 (offline 품질)

5.고객사 (offline 품질)

 

압연 부대 설비

공형설비

롤러테이블 

롤러 테이블은 구동되는 롤러를 비치한 통로로서 그 위로 압연재가 반송된다. 롤러 테이블은 작업용과 반송용으로 분류한다.

1)작업용 롤러테이블

이것은 압연기의 바로 앞, 뒤 부분에 설치되어 있어 압연 작업할 때 압연재를 롤에 보내고 패스 후에 압연재를 받아 내는 일을 한다. 

2)반송용 롤러테이블

압연재를 가열로에서 압연기로 반송하거나, 압연기에서 절단기 또는 다음 압연기로 반송할 때 사용된다.

 

리프팅 테이블과 틸팅 테이블

3단식 압연기에서는 압연재를 하부 롤과 중간 롤의 사이로 패스한 후, 다음 패스를 위하여 압연재를 들어 올려 중간 롤과 상부 롤의 사이로 넣어야 하는데 이러한 역할을 하는 장치가 리프팅 테이블(lifting table)과 틸팅 테이블(tilting table)이다.

이들 장치의 원리는 리프팅테이블은 테이블이 평행으로 올라가지만, 틸팅테이블은 어느 고정점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필요한 위치로 올린다.

 

회전 및 반송

압연재를 압출할 위치가 되도록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시키고 가로 이송장치에 의해 압연재를 압연 방향에 대하여 옆에 있는 다음의 공형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의 두 조작은 필요에 따라 별개로 또는 동시에 조작한다.

 

강괴 장입기(pusher)

강괴 장입기롯허 가열로에 압연재를 연속적으로 밀어 넣는 설비이다. 압연재인 강괴, 블룸 및 빌릿은 대체로 기중기에 의해 가열로의 장입 쪽에 있는 장입 대에 놓여지고, 장입기로 압연재를 가열로 속으로 밀어 넣는다. 강괴 장입기는 크랭크 또는 래크 피니언 식으로 전동, 유압 또는 수압으로 작동한다. 가열로를 비우든지 또는 반 정도만 장입하기 위해서 장입봉은 될 수 있는 대로 길게 하는 것이 좋다.

 

추출 장치(Extractor)

가열된 강편을 강편 추출장치에 의해서 가열로에서 밖으로 추출한다. 빌릿과 같이 단면이 작고 길이가 긴 압연재는 롤러 테이블 또는 구동 롤러로 반송하여 가열로의 옆에서 장입되고, 가열로 내의 이동은 강편 장입장치에 의하여 이송된다.

 

강괴 전도기

균열로 안에 장입한 강괴를 균열하기 위하여 스트리퍼 크레인으로 균열로에서 수직으로 인출하여 분괴 압연기의 어프로치(approach) 테이블로 이동시키는데, 어프로치 테이블 위에 강괴를 놓기 위하여 강괴를 수직 방향으로 전도시킬 때 강괴 전도기를 사용한다.

 

기중기

압연공장에서 압연기 및 설비의 배치와 특성에 따라서 여러가지 기중기가 있따. 즉 집는 식 기중기, 저장소용 또는 적재용 기중기, 마그넷식 기중기 등이다.

 

냉각 상

냉각 상을 열상이라고도 하는데, 압연기에서 압연된 압연재를 전 횡단면에 걸쳐 일정한 냉각 속도로 동시에 냉각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압연재는 압연 속도와 냉각 속도를 위한 수송 속도 간의 균형을 만들기 위해 압연 라인에 대하여 경사로 보내진다. 이와 같은 냉각상의 구조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냉각상의 여러가지 구조는 각 압연기의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코일 반송 설비

코일 반송 설비는 벨트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워킹 비임 및 훅 컨베이어 등 이 사용된다. 훅 컨베이어는 훅을 와이어에 단단히 묶어 그 훅이 레일 위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장치이다. 또한 적열 상태에 있는 선재 코일이 도출 장치에 의하여 냉각된다. 대강 코일을 수직, 수평 어느 쪽으로도 반송될 수 있다.